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특수용접기능사 2023년 변경사항 시험정보 알아보기

by 땅콩집사님 2024. 1. 26.

특수용접기능사 시험이 2023년부터 분리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분리된 해당 용접 관련 기능사 시험의 변경 사항, 시험 정보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용접공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용접 관련 자격증은 필수적으로 취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용접 분야의 자격증은 용접기능사와 특수용접기능사 2종류의 자격증이 있습니다. 올해 2023년부터 자격증 제도에 변화가 생겨 자격에 대한 기준이 더욱 세분화되었습니다. 올해 개편된 내용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부터 해당 기능사 자격증은 가스텅스텐아크 용접기능사와 이산화탄소가스아크 용접기능사 2개의 자격증으로 나뉘어졌습니다. 이전의 특수용접 자격에서 두 가지 방법의 용접에 대해 다루었으나, 각 기술에 전문성을 주기 위하여 자격제도가 분리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1. 2023년 변경 사항(용접 관련 자격증의 분리)

2023년 변경 사항에는 시험의 출제 기준, 진행 방식 등이 있습니다. 시험일정의 경우 기존에도 응시생 수가 많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가스텅스텐, 이산화탄소가스 분야 모두 정기시험은 매년 4회 진행됩니다. 필기는 출제 기준, 시험 과목이 동일하나 한 번의 시험으로 두 분야의 자격을 모두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때문에 두 분야중 하나를 잘 선택하셔서 응시하시기 바랍니다.

  • 출제 기준의 변경
    • 필기 : 2022년 12월 까지 일반 용접 기능사의 경우 필기 과목은 총 3과목이었습니다. 용접 일반, 용접 재료, 기계 제도(비절삭 부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시험 범위는 일반 용접, 용접 시공 및 검사, 작업 안전, 용접 재료, 기계 제도로 그렇게 범위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변경된 특수용접기능사 필기시험 과목은 총 6과목으로 아크 용접, 용접 안전, 용접 재료, 도면 해독, 가스 절단, 기타 용접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 시험 과목 : 1. 아크 용접, 2. 용접 안전, 3. 용접 재료, 4. 도면 해독, 5. 가스 절단, 6. 기타 용접
      • 검정 방법 : 객관식 60문항,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실기 : 실기시험은 가스텅스텐, 이산화탄소 두 자격이 다르게 시행됩니다. 2022년의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활용하여 시험에 응시하였다면, 23년부터는 각 분야에 맞는 작업으로 시험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실기는 총 2시간 실시됩니다.
      • 실기 세부 사항
        1. 가스텅스텐 아크용접 기능사
          • 과제 1 연강 맞대기 용접 : TIG용접 이면 보호판(세라믹백킹제_ 사용 불가
          • 과제 2 스테인리스강 맞대기용접 : TIG용접 이면 보호판(세라믹백킹제) 사용
          • 과제 3 온둘레 필릿용접(일주용접) : TIG용접 이면 보호판(세라믹백킹제_ 사용 불가
        2.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 기능사
          • 과제 1 솔리드와이어 맞대기용접 : 세라믹백킹제 사용 불가
          • 과제 2 플럭스코어드와이어 맞대기용접 : 세라믹백킹제 사용
          • 과제 3 수동가스절단 및 솔리드와이어 필릿용접
  • 2023년 시험 일정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시험 일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두 분야 모두 4회의 정기 시험이 시행됩니다. 필기의 경우 두 분야 모두 2월, 4월, 6월, 9월에 시행됩니다. 실기는 4월 6월 7월 8월 12월이 시행되므로 시험 일정 참고하셔서 준비 하시기 바랍니다. 시험 접수는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Q-Net)에서 가능하십니다.

  • 합격률

올해 변경된 해당 기능사 시험의 합격률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변경되지 전 최근 5년 동안의 합격률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시험 준비 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필기의 합격률은 평균적으로 35%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55%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자료는 필기와 실기의 과목이 변경되지 이전이므로 참고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3년 출제 기준이 변경된 현재는 1회 필기 시험 합격률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스텅스텐아크용접 기능사 필기는 43.5%, 이산화탄소가스아크 용접기능사는 43.1%입니다. 두 분야 모두 변경 이전의 필기 합격률과 비교하면 높은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실기 시험(작업형)의 방법이 다를 뿐 두 분야의 필기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은 동일하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특수용접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활용

해당 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활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용접의 경우 조선소, 기계, 자동차 산업, 전기, 전자, 건설업 등 광범위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업체에서는 더욱 전문화된 용접기술을 요구하고, 공급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산업 전반 모든 분야에 취업이 가능하며 기술자로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시험인 만큼 공공기관, 일반 기업, 대기업 채용 시에는 우대받으 실 수 있습니다. 6급 이하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도 기계직, 농업 기계직 등의 기술직에 응시할때 3%의 가산점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사 시험의 경우 별도의 응시자격 요건이 없으므로 관련분야에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은 누구나 응시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