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전기기사 2023년 시험 정보 준비기간 난이도

by 땅콩집사님 2024. 1. 26.

전기기사 시험의 2023년 시험 정보, 준비 기간, 시험 난이도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해당 국가 기술 자격 시험의 경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전기 분야 기사급 국가기술자격시험이며, 기사 시험 중에서 높은 난이도로 유명합니다.

전기 관련 해당 자격증 시험의 경우 전기전자공학, 전기공학 계열을 전공한 사람, 전기업과 관련된 분야의 근무자들이 응시를 많이 하며, 전기 관련 업종에서는 최고의 자격증이라 불릴 정도로 활용도가 높은 자격증입니다.

1. 2023년 시험 정보

해당 기사의 시험 정보에 앞서 기본 개요를 살펴보면 전기기사는 현대산업에서는 전기가 없으면 운영이 되지 않을 정도로 대부분의 시설이 전기를 사용합니다.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력부분에서 효율성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전기 관련 자격증은 이러한 전기 설비의 운전 및 조작 · 유지 · 보수 등에 관하여 전문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해주는 자격증입니다. 다른 국가기술자격증과 같이 기사급 시험이기 때문에 응시 제한이 있으며, 응시할 수 있는 자격 요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2. 관련학과 전공자
    • 대졸(졸업 예정자)
    • 2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2년
    • 3년제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실무경력 1년
    • 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산업기사 수준 훈련 과정 이수 + 실무 2년 이상
  3. 순수 경력자
    • 실무 경력 4년 이상(동일, 유사 분야)

* 관련 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 위에 말씀드린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시더라도 현재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점은행제도를 통해 106학점을 이수하시게 되면 해당 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 시험 과목 및 시험 일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필기시험의 경우 5과목, 실기는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기는 객관식, 실기는 필답형으로 치르게 되며 검정방법 및 합격기준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시험과목
      • 필기 :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 기기 ,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 기술기준
      • 실기 :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2.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100점)
    3.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시험 응시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 22,600원

해당 자격증 시험의 일정은 다른 국가기술자격시험과 마찬가지로 1년에 총 3회의 정기시험이 시행됩니다. 2023년의 경우 3월, 6월, 8월에 시험이 시행됩니다.

2. 시험 준비 기간(필기, 실기)

시험 준비 기간은 보통 2개월 정도로 준비를 많이 하는 편이며, 과락률이 높기 때문에 5과목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숙지하지 않으면 과락으로 불합격이 될 수 있어 유의하여야 합니다. 2개월의 준비 기간은 독학으로 준비할 때의 기준이니 참고 바랍니다. 기사시험의 특성상 과년도 위주로 공부를 하시길 권하며, 과년도는 최소 10년치 이상의 문제를 풀어야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전기 기사 필기에 합격하는데 소요되는 준비 기간은 3개월 미만 20%, 3개월 이상 30%로 열심히 준비하는 것이 아니면 보통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실기의 경우 1개월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며, 하루 공부량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전공자의 경우 2 ~ 3개월의 충분한 공부시간이 필요하며, 전공자의 경우 1개월 정도의 충분한 준비면 합격 하실 수 있습니다. 비 전공자와 전공자의 준비 기간(필기 + 실기)을 살펴 보면 3 ~ 4개월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시험 준비 기간의 경우 전공자, 비 전공자,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필기는 최소 4주, 실기는 최소 5주의 준비 기간을 생각하시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3. 전기기사 자격증 시험 난이도

필기시험은 2022년 2회까지는 Paper Based Test 방식으로 종이 문제지에 문제가 인쇄되어 OMR카드에 답안을 작성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후 필기시험이 CBT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최근 5년 동안의 필기 합격률을 보면 22 ~ 29%로  다른 기사급 시험들에 비하여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실기시험의 합격률은 14 ~ 39.5%로 시행 년도마다 편차가 심한 편이지만, 평균 27%로 낮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는 환경 공학을 전공하여 산업안전기사, 수질환경기사, 대기환경기사 3개의 기사급 자격증을 취득하는 동안 전기를 전공한 지인의 경우 전기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하였습니다. 저는 1년 반동안의 시간 동안 3개의 기사를 취득할 수 있었지만, 그동안 지인은 해당 자격증을 취득 못하였다는 점 참고 하시면 난이도를 예상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해당 기사자격증 필기 시험의 경우 최근 20년간 30%를 넘은 적이 없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시험입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20% 내외의 합격률이고 다수의 합격자가 나왔을 때에는 2019년 40.5%이므로 편차가 심합니다. 과목별로 과락률도 차이가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이 기초이므로 고득점을 받을수 있는 과목이며, 전력공학, 전기 자기학, 전기기기의 경우 출제되는 문제가 원론적이기 때문에 득점하기 좋은 과목입니다. 모든 기사급 시험이 그러하듯 과락은 면하고 평균 60점을 득점하기 위해서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전략을 잘 짜셔서 전기기사 취득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